대한초음파 의학회 대한초음파 의학회

  • NEWSLETTER
    2022 No.1
  • view Menu
검색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영상의학과 초음파실을 소개합니다.

1. 초음파실의 위치
어린이병원 1층 소아영상의학과 내 위치합니다.


2. 초음파장비 개수와 초음파실 조직구성 및 인원(초음파실장, 방사선사, 간호사, 접수요원 등)
소아영상의학 초음파실은 3개 검사실로 구획되어 있고 장비는 소아혈관조영실 용 1대를 포함 총 4대를 운영 중입니다(GE LOGIQ E9, Supersonic Imagine Aixplorer, Canon Aplio i800, Philips IU 22). 방사선사 2.5명 (오전 2명, 오후 3명)이 초음파검사 진행을 도와줍니다. 초음파유도하 조직 생검 등 진정(sedation)이 필요한 경우 어린이병원 진정 전담 간호사가 진정을 시행하고 모니터링을 담당합니다.


3. 우리 병원 초음파 검사종류의 특징?
소아초음파 검사는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 검사하는 부위가 다양합니다. 복부와 신장의 초음파검사가 가장 많이 시행되지만 성인 초음파검사실에서는 시행하지 않는 brain과 spinal canal의 초음파검사도 높은 빈도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둘째, 0-18세 소아청소년이 검사 대상이므로 복부초음파검사라 하더라도 검사 대상자의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transducer가 필요합니다. 셋째, 인접 장기 초음파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Whole abdomen 검사는 제한적으로만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간초음파와 장 초음파검사를 같이 시행한다든지 간초음파검사와 신장초음파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넷째, 이동초음파검사가 전체 초음파검사의 10-15%를 차지할 정도로 많습니다.


4. 우리 병원 초음파실의 자랑거리?
검사 대상인 소아의 특성에 맞춘 다양한 보조도구를 갖추고 있습니다. 영유아에서 복부검사를 시행할 경우 배고픔을 참지 못하는 영유아를 달래기 위한 pacifier나, 체온 유지를 위한 온열기, 초음파 젤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장고 등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모빌이나 장난감 등도 준비되어 있는데 이는 협조가 안되는 영유아와 학령전기 어린이의 관심을 유도하여 검사를 수월하게 합니다. 신속 정확한 진료를 위해 당일 외래초음파 슬롯을 운영하며, 입원 환자의 조직검사 의뢰시 당일 시행을 원칙으로 진료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아픈 어린이와 보호자를 먼저 생각하고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검사를 시행하는 의료진과 초음파 담당 방사선사가 가장 큰 자랑거리입니다.


5. 앞으로 발전 방향 또는 개선점
소아초음파검사 건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 이후는 연간 18,000건의 초음파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진료에 급급하기 보다는 초음파관련 연구에도 꾸준한 관심을 갖고자 합니다. 또한 소아초음파실의 공간 확장을 위한 리모델링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소아초음파검사 시에는 소아 뿐만 아니라 동행한 보호자를 위한 공간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맞춰 추가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6. 기타 (추가로 자랑하고 싶은 내용)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의 소아영상의학과는 완성된 소아진료를 위한 기반 시설입니다. 그 중에서도 소아영상의학 초음파실은 영상의학과 의사가 직접 검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각과 의료진과 신속하게 공유하여 향후 진료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소아진료의 핵심이라고 자부하는 바입니다.


학회소식

footer logo footer logo

  •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53 마포트라팰리스 A동 304호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887 대표자: 정재준
  • Tel. +82-2-763-5627 Fax. +82-2-763-6909 E-mail : office@ultrasound.or.kr
  • Copyright©by Korean Society of Ultrasound in Medicine